PROJECT 공간기획

P_P.Y는 사용자와 함께 공간을 디자인하는 ‘사용자참여디자인’ 을 지향합니다.
참여하는 사용자는 기획하고자 하는 공간 또는 장소에 따라 어린이, 청소년, 선생님, 학부모, 지역주민 등
다양한 세대와 분야 간의 소통과 사용자 의견을 수렴하여 사용자의 공간디자인 니즈를 파악할 수 있는 ‘참여과정’을 기획합니다.
또한 ‘참여과정’에서 수렴된 니즈(NEEDS)는 건축전문가(건축가, 건축사)와 함께 협업하여 ‘사용자 의견을 담은 디자인’으로 제안합니다.
‘사용자참여디자인’은 과정중심 디자인방식 입니다. ‘과정’ 은 사용자 의견청취, 의견수렴 을 기록하여, 이후 디자인 되는 공간에 대한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사용자참여디자인’의 과정과 디자인결과를 경험한 사용자는 진로탐구, 시민의식향상 등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Program theme 사용자 참여 디자인, 학교공간재구조화 사전기획 등
Design process 사전조사 – 교육기획 – 공간기획 – 심의지원
Design tool design 사용자가 희망하는 공간방향성 표현 촉진과 기록되어 효과적인
디자인방향성을 위한 디자인 도구 개발
Design with Users 지역, 공간, 사용자 특성에 따른 사용자참여디자인 기획
Desing proposer 전문가 협업을 통한 사용자의견이 반영된 효과적인 공간방향성 검토와 제안 , 효율적인 설계도입과정을 위한 컨설팅
Architect network 사용자의견에 따른 건축방향성, 법규검토, 심의지원을 위한 건축설계전문가(건축사)와 함께하는 공간기획

_DSC3882

공간기획(디자인) 관련분야 수상

2023.10 2023대한민국 공공디자인 대상 광주광역시교육청 학교공간혁신 아지트 < 광주양동초등학교 > 우수상 수상

공간기획(디자인) 이력

portfolio insert
DJI_20240327104458_0001_D
  사전기획  

남목초등학교 복합커뮤니티센터

  • 위치 : 울산광역시 동구 서부동 370번지 ( 옥류로 33 )
  • 대지면적 : 12,558.00㎡
  • 기획기간 : 2024년 03월12일 ~ 2024년 06월16일(용역계약기준)
  • 주최, 발주 : 울산동구청, 울산광역시교육청
  • 협력사 : 수평 건축사사무소

1920년 7월 3일 개교한 남목초등학교는 울산광역시 동구 남목1,3동의 지역역사이자, 지역교욱문화의 중심지이며, 현재,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추진으로 새 학교공간이 지어지고 있습니다.

 

남목초등학교 복합커뮤니티센터는 지역공공기관(울산동구청, 울산광역시교육청)이 협력추진하고, 남목초 교육공동체와 남목지역주민이 사용자참여디자인과정에 참여하였습니다.

 

남목초복합커뮤니티센터는 지역주민과 학교사용자 편의를 위한 편의시설(지하주차장, 마을카페, 체육시설 등), 학교교육연계공간(돌봄교실, 체육시설 등), 교육공동체배움문화공간(세미나실, 옥상무대 등) 등으로 구성되어 질 예정입니다.

  사전기획  

마산의신여자중학교

  • 위치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천하장사로 21
  • 학생 수 : 245명, 9학급 (2022년 기준)
  • 대지면적 : 6.516.12.00㎡
  • 기획기간 : 2022년 06월16일 ~ 2022년 12월12일(용역계약기준)
  • 주최, 발주 : 경상남도교육청
  • 협력사 : 이코스 건축사사무소

마산의신여자중학교는 2022년 사전기획 당시, 본관동, 다목적강당 및 급식소, 창포꽃피움터(다목적실) 4,984.78㎡ 규모로 이루어져 있으며, 40년 이상 경과 된 노후 시설인 본관동이 2022년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리모델링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나, 교방1구역 아파트단지 공사로 인한 소음, 분진, 지반침하로 시설안전 확보가 시급하였고, 남녀공학전환과 미래교육 대응에 맞추어 학교공간재구조화 필요성이 높았습니다.

 

학생, 선생님, 학부모, 지역주민은 사용자참여디자인워크숍을 통해 지역에서 학교가 가져가야하는 가치, 미래교육지향점에 따른 공간재구조화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고 기본계획방향의 밑그림을 그려 나갔습니다.

 

이후 공간재구조화사업이 준공되고, 2025년 3월 1일, 남녀공학 첫 해 신입생 118명(여66명, 남52명)을 맞이해 100여년의 마산의신여자중학교에서 ‘의신중학교’로 앞으로의 100년을 시작하였습니다.

DJI_0194
  사전기획  

광양진월초중통합학교

  • 위치 :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마룡리 614번지
  • 대지면적 : 13,161.00㎡
  • 기획기간 : 2021년 10월26일 ~ 2022년 02월22일(용역계약기준)
  • 주최, 발주 : 전라남도교육청
  • 협력사 : 엠투에이워크샵 건축사사무소

2020년 전남교육청은 학령인구 감소를 대비한 ‘미래형 통합운영학교’사업추진을 배경으로 광양시 진월면에 위치한 광양진월초등학교(1967년 개교, 학생39명)와 광양중학교(1971년, 32명)을 ‘그린스마트미래학교’를 통해 통합방향을 모색하였습니다.

 

초중통합학교의 대상지는 옛 진월초등학교가 있었던 장소입니다. 이 장소는 1950년대 지어진 옛 교사동 포함, 교목, 운동장, 연못 등이 보존되어 있고, 학교 남측으로 천왕산, 망덕산, 섬진강이 위치하고 학교뒷편으로 대나무 숲이 있습니다.

 

진월초중교육공동체는 학교와 지역이 함께 나아갈 수 있는 교육방향을 협의하고, 점진적인 초중통합과정과 공간운영을 위한 전략을 세우며 미래학교공간 방향을 세워나갔습니다.

_DSC3591
  사전기획  

광주양동초등학교

  • 위치 : 광주광역시 서구 경열로121번길 5
  • 건축면적 : 111,34㎡ (운동장측 외부공간)
  • 기획기간 : 2022년 02월24일 ~ 2023년 03월31일(용역계약기준)
  • 주최, 발주 : 광주광역시교육청
  • 협력사 : 예림 건축사사무소

광주양동초등학교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시행된 광주광역시교육청 학생중심 공간혁신(아지트프로젝트) 2022년 대상사업으로 추진되었습니다.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사용자참여디자인 과정을 통해 학습과 놀이 및 휴식 등 균형 잡힌 삶의 공간으로서 역할 할 수 있는 장소와 공간방향성을 찾아나갔습니다.

 

광주양동초 ‘아지트’공간은 학교, 지역, 교육공동체가 배움문화를 만들고, 활용목적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여 기존 주변장소에서의 기능이 확장연계될 수 있도록 디자인을 제안해 설계되었습니다.

 

본 프로젝트는 2023년 대학민국공공디자인대상에서 우수상을 받으며, 사용자참여디자인과정의 의미와 공간디자인의 가치를 알렸고, 현재 다양한 교과과정과 지역주민과의 만남공간 등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_DSC2876
  사전기획  

광주금호초등학교

  • 위치 : 광주광역시 서구 금부로95번길 26-11
  • 건축면적 : 375.75㎡ (1층, 4층)
  • 기획기간 : 2021년 03월02일 ~ 2022년 03월31일(용역계약기준)
  • 주최, 발주 : 광주광역시 교육청

광주금호초등학교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시행된 광주광역시교육청 학생중심 공간혁신(아지트프로젝트) 2021년 대상사업으로 추진되었습니다.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사용자참여디자인 과정을 통해 학습과 놀이 및 휴식 등 균형 잡힌 삶의 공간으로서 역할 할 수 있는 장소와 공간방향성을 찾아나갔습니다.

 

광주금호초 ‘아지트’대상공간은 1층 (중앙현관, 문서고, 행정실, 복도, 인쇄실 ) 과 4층 ( 2개교실과 0.5칸 준비실)로 합의하고, 획일화된 교실형태 및 활용을 활용목적에 따라 통합, 분리 운영할 수 있도록 공간재구조화 디자인을 제안했습니다.

 

1층 대상장소는 외부공간에서의 놀이활동이 연계되어 학생들이 다른 속도와 내용으로 실내에서 놀이 및 휴식을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도서실연계수업, 미디어실연계수업 등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4층 대상 장소는 교과시간 또는 방과후시간 모두 주도적인 학생활동, 교과활동 등이 운영될 수 있도록 활용형태에 따라 크기, 방향을 선택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_DSC0449
  사전기획  

서울포이초등학교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22길 87
  • 건축면적 : 약253.55㎡
  • 기획기간 : 2019년 04월
  • 주최, 발주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포이초등학교
  • 협력사 : 엠투에이워크샵 건축사사무소

서울포이초등학교는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추진하는 꿈을담은놀이터(꿈담놀이터) 2019년 대상사업으로 추진되었습니다.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사용자참여디자인 과정을 통해 놀이 및 휴식 등의 역할 할 수 있는 장소와 공간방향성을 찾아나갔습니다.

 

서울포이초 꿈담놀이터는 시간표에 의해 ‘놀이’할 수 있는 시간 외에도 학교일상이 놀이와 편안함이 될 수 있는 장소, 다양한 놀이와 휴식 종류와 행태관찰, 공간디자인 모색, 놀이안전환경을 고려하여 구성되었습니다.

 

꿈담놀이터 장소는 기존 비활성화된 놀이장소와 학생들의 등하교길목이자 친구, 학부모님 만남장소로 활용되고 있는 학교정문과 운동장의 사이장소로 선정되었습니다.

대상장소는 학교정문과 운동장 사이 높이차가 있었고, 이를 활용하여 정문과 교사동까지의 동선을 잇고, 동선 상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될 수 있는 휴식, 놀이 공간을 제안하였습니다.

CO-DESIGN WORKSHOP